Chapter4.2 IP 주소: 구조와 할당
- 인터넷 구성과 주소 부여 체계
- IP 주소 구조
- 클래스 IP 주소(Classful IP Address)
- 비클래스 IP 주소(Classless IP Address)
- IP 주소 할당
인터넷 구성과 주소 부여 체계
- Network of Networks
- Internet: 이 기종 네트워크를 라우터로 연결
- Subnet: 라우터로 연결된 서브넷은 유일한 ID를 가짐
- Host: 호스트는 서브넷에서 유일한 ID를 가짐
*서브넷은 인터넷 차원에서 Unique한 ID를 가지고,
호스트는 서브넷 내에서 Unique한 ID를 가지기 때문에
네트워크 ID + 호스트 ID 는 인터넷에 있는 모든 장치를 Unique하게 구분 가능함.
- 인터넷 차원의 주소: IP 주소
- 인터넷에서 통신 장치를 유일하게 식별
- Network ID + Host ID
- 네트워크 주소: Host ID = 0
*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은 유니크한 IP 주소를 가지고,
모든 서브넷은 유니크한 Network 주소를 가진다!
- 네트워크 주소(Network ID) 기반 라우팅
- 라우팅 테이블 크기 축소
- 인터넷 성능 제고
* 왜 IP 주소를 Network ID + Host ID로 구조화 했을까?
: 편지 보낼 때 우편번호와 주소를 생각하면 된다.
→ 분류를 편리하게 위함!
모든 개개인의 주소를 가지고 분류하려면 참조해야할 부분이 많아지므로,
먼저 우편번호(Network ID)를 통해 분류하고, 라우터에 도착한 뒤에 개별 주소(Host ID)로 분류~
이러면 라우팅 테이블도 사용자별이 아닌, 라우터별 하나만 있으면 되고,
따라서 인터넷 성능도 높일 수 있다.

- 라우터로 연결된 네트워크 식별
- 아래 그림의 네트워크 수?
: 3개일까? (X), 6개! (O)
*전용회선네트워크(Point to Point Network)
: 연결된 호스트가 2개밖에 없는 네트워크 (양쪽에 라우터로 연결)


IP 주소 구조
- 주소 구조: 32비트(2^32 또는 4,294,967,296)

*차세대 IP 주소(IPv6): 128비트(2^128)
현재 IP 주소(IPv4): 부족하지만, IP 주소 잘 재사용하여 인터넷 작동
-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 비트수

- 주소 구조 활용 방식
- 클래스 주소(Classful Addressing)
- 비클래스 주소(Classful Addressing)
- 클래스 주소
- 고정 길이 프리픽스(네트워크 ID)
- 초기의 주소 방식
- 주소 낭비 문제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
- 비클래스 주소
- 가변 길이 프리픽스(네트워크 ID)
-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소 방식
클래스 IP 주소(Classful IP Address)
- 클래스 주소 구분

- 클래스 주소의 주소 낭비 문제
→ 따라서, 비클래스 IP 주소를 사용

비클래스 IP 주소(Classless IP Address)
- CIDR(Classless InterDomain Routing)
- 임의의 길이의 프리픽스(Network ID) 할당
- 네트워크 크기(호스트 수)에 맞는 프리픽스(Network ID) 크기 설계 가능
- 서브넷마스크(subnetmask)
-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ID의 길이(프리픽스 크기) 표시
- 네트워크 크기(호스트 개수)를 결정
*반드시 서브넷마스크를 가지고 있어야 함 (네트워크 주소를 알 수 없기 때문에)
- 서브넷마스크 표기법
- 프리픽스 표기법: /prefix_size 표시
- 이진 표기법: 프리픽스 비트를 모두 1로 표시
- DDN 표기법: 이진 서브넷마스크를 DDN으로 표시
*IP 주소중 서브넷 ID에 해당되는 것은 전부 1, 호스트 ID에 해당되는 것은 전부 0으로 표현
- 서브넷마스크 표기 예제
- 프리픽스(prefix) 서브넷 마스크: /24
- 이진 서브넷마스크: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
- DDN 서브넷마스크: 225.225.225.0
- 특수 주소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호스트 ID의 모든 비트 1
- 네트워크 주소: 호스트 ID의 모든 비트 0
- IP 주소 분석: 200.100.11.1 / 24
- 네트워크 주소: 200.100.11.0/24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200.100.11.255/24
- 최대 호스트 개수: 254 (*특수 주소는 호스트에 할당할 수 없기 때문에, 256-2=254)
- 네트워크 주소 계산
- IP_주소 & 서브넷마스크 (AND 연산)
- 220.100.11.1 & 255.255.255.0 = 220.100.11. 0
[예제]
- IP 주소 분석: 200.100.11.1/23
- 네트워크 주소: 200.100.10.0/23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200.100.11.255/23
- 최대 호스트 개수: 510(200.100.10.1 ~ 200.10.11.254)

- IP 주소 분석: 200.100.11.1/30
*서브넷마스크가 30인 네트워크 에 연결할 수 있는 호스트 개수: 2개 (4-2=2)
- 네트워크 주소: 200.100.10.0/23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200.100.11.255/23
- 최대 호스트 개수: 510(200.100.10.1 ~ 200.10.11.254)

IP 주소 할당
- NIC(Network Interface Card) 단위의 IP 주소 할당
- 라우터: 3개의 NIC로 네트워크 연결
- 라우터의 IP 주소: NIC 개수만큼 IP 주소 할당
*IP주소를 할당하는 대상이 무엇인가?
: 호스트나 라우터의 장치가 아니라,
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(네트워크 인터페이스)가 IP 주소의 할당 단위가 된다.

- IP 주소 중복 할당 예제
*다음 중 IP 주소 할당이 잘못된 곳? (중복할당)
: ※ IP 주소는 Unique 해야 함. 이것이 IP 주소의 정의!
A의 가능 범위 → 172.16.2.1 ~ 172.16.3.225
B의 가능 범위 → 172.16.4.1 ~ 172.16.5.225
따라서, B의 가능 범위와 C의 주소(172.16.5.1)가 중복되었으므로 IP 주소 할당이 잘못되었다.
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네트워크] Chapter4.4 사설 IP 주소와 NAT (0) | 2023.12.15 |
---|---|
[컴퓨터네트워크] Chapter4.3 DHCP (0) | 2023.12.14 |
[컴퓨터네트워크] Chapter4.1 인터넷 프로토콜(IP) (0) | 2023.12.14 |
[컴퓨터네트워크] Chapter3.7 TCP 혼잡 제어 (0) | 2023.12.14 |
[컴퓨터네트워크] Chapter3.6 TCP 신뢰 전송과 흐름 제어 (0) | 2023.12.14 |